본문 바로가기
  • Tried. Failed. Logged.
728x90

Docker9

Docker - WSL, Docker 구글 크롬 설치 WSL Ubuntu에서 Chrome을 설치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먼저 필요한 패키지를 업데이트합니다 sudo apt update && sudo apt upgrade -y 2. Chrome의 설치에 필요한 의존성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sudo apt install wget gpg 3. Google Chrome의 공식 GPG 키를 다운로드하고 추가합니다 wget -q -O - https://dl.google.com/linux/linux_signing_key.pub | sudo apt-key add -  4. Google Chrome 리포지토리를 시스템에 추가합니다 sudo sh -c 'echo "deb [arch=amd64] http://dl.google.com/linux/chrome/deb/ s.. 2024. 7. 3.
Docker - Docker Engine Failed to Start 해결 방법 1. Windows 기능 설정       2. wsl --unregister  wsl --unregister Ubuntuwsl --unregister docker-desktopwsl --unregister docker-desktop-data   3. 재부팅    출처: https://github.com/docker/for-win/issues/13638 Docker Engine Failed to Start : Getting Error "waiting for docker daemon: running wsl-bootstrap: WSL engine terminated abruptly"Description Using Windows 10 Enterprise. .. 2024. 4. 24.
Docker - 컨테이너 시작시 명령어 자동 실행하기 1. root의 bash 환경 설정 파일 에디터 열기 nano /root/.bashrc 2. 맨 하단에 자동 실행하고 싶은 명령어 입력 service ssh start 출처: https://dttmmit.tistory.com/81 NAS Docker 컨테이너 시작시 자동 실행할 명령 설정하기 /root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vim 으로 .bashrc 파일 열어준다 G를 눌러 파일의 맨 끝으로 이동해 준다 o를 눌러 커서 위치를 바로 다음 줄로 옮기고 입력 모드를 시작한다 이제 컨테이너가 시작하면 자 dttmmit.tistory.com 2023. 10. 21.
리눅스 - WSL 2, Docker, VirtualBox 함께 사용 (Hyper-V 비활성화) WSL 2, VirtualBox 동시에 사용 인증 방법 Hyper-V "비활성화" 가상 머신 플랫폼 "활성화" 이후 컴퓨터 재부팅 Docker Hpyer-V 없이 사용 Docker 실행시 Hyper-V가 비활성화된 대신 WSL 2 기반으로 실행하냐는 메시지가 뜨면 "Switch to WSL 2" 클릭하거나 Settings - General - Use the WSL 2 based engine 체크 2023. 5. 22.
Docker- docker-compose.yml 생성(docker-compose) docker-compose.yml version: "3.9" services: webserver: image: search-webserver:2 container_name: webserver environment: TZ: Asia/Seoul ports: - "22:22" - "80:80" dns: - 8.8.8.8 extra_hosts: - host.docker.internal:host-gateway stdin_open: true tty: true 컨테이너 생성 docker-compose up -d "exited with code 0 docker"가 뜨면서 컨테이너가 start가 안될 경우 stdin_open: true, tty: true를 추가해야 한다. 참고: https://lifefun.tistor.. 2023. 4. 6.
Docker - 이미지 파일(.tar)로 저장해서 이미지로 불러오기 이미지 파일(.tar)로 저장 docker save -o myimage.tar myimage 이미지 파일 불러오기 docker load -i myimage.tar 2023. 4. 6.
Docker - 실행중인 컨테이너 포트 바인딩하기 & DNS 서버 주소 설정 1. 실행 중인 컨테이너 이미지화 docker commit [container id] [imageName]:[tagName] 2. 이미지화한 컨테이너를 run 하면서 포트 바인딩 설정 docker run -it -p [외부port]:[컨테이너 내부port] --name [컨테이너 이름] [image id] /bin/bash #. run 하면서 DNS 서버 주소 설정 docker run --dns="8.8.8.8" 출처: http://blog.jaeil.wiki/docker-dns-setting/ Docker 에서 DNS 설정 방법 셸에서 docker 명령어 실행 시 inline 으로 인자 전달 docker run --dns="8.8.8.8" docker-compose.yaml 에 dns config 정의.. 2023. 3. 31.
MySQL - 도커에서 MySQL 서버에 접속이 안되는 경우[ERROR 2002 (HY000): Can't connect to local MySQL server through socket '/var/run/mysqld/mysqld.sock' (13)] 로컬 MySQL 서버 접속을 위한 /var/run/mysqld/mysqld.sock에 접근이 안된다는 오류 메시지 이유는 mysqld 폴더 주인 외엔 아무도 접근이 안되기 때문임  chmod 755 /var/run/mysqld폴더 접근 권한을 755로 설정 2023. 3. 31.
아파치 - 도커에서 /var/log/apache2에 에러 로그(error.log)가 안나오는 경우 vim /etc/apache2/apache2.conf 위의 내용을 아래로 수정 Errorlog ${APACHE_LOG_DIR}/error.log 2023. 3. 3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