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720 디지털 포렌식 - NTFS 파일시스템 BR 복구하기 실습 실습 이미지(NTFS.001) 출처 및 참고: https://blog.naver.com/bitnang/220188735136 [실기]디지털 포렌식 전문가 2급 NTFS 파티션 복구하기(HxD활용)제목 : NTFS파티션 복구하기(HxD 활용) 사용 환경 : HxD, FTK Imager 기본설명 ...blog.naver.com 실습 이미지 파일(NTFS.001) 다운로드 https://drive.google.com/file/d/1ACMQQRLkmnuv2xh99Jr88qejKg6Gv09R/view NTFS.001 drive.google.com 1. 파티션에 대한 이해파티션이란 연속된 저장 공간을 하나 이상의 연속되고 독립된 영역으로 나누어 사용할 수 있도록 정의한 규약이다. B와 C의 큰 차이점은 .. 2023. 10. 23. Docker - 컨테이너 시작시 명령어 자동 실행하기 1. root의 bash 환경 설정 파일 에디터 열기 nano /root/.bashrc 2. 맨 하단에 자동 실행하고 싶은 명령어 입력 service ssh start 출처: https://dttmmit.tistory.com/81 NAS Docker 컨테이너 시작시 자동 실행할 명령 설정하기 /root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vim 으로 .bashrc 파일 열어준다 G를 눌러 파일의 맨 끝으로 이동해 준다 o를 눌러 커서 위치를 바로 다음 줄로 옮기고 입력 모드를 시작한다 이제 컨테이너가 시작하면 자 dttmmit.tistory.com 2023. 10. 21. 윈도우 - 네트워크 파일 공유 및 암호 인증 해제 파일 공유 활성화 암호 인증 해제 암호 보호 공유를 끄기를 하여도 인증 창이 나오는 경우 공유할 폴더의 속성에서 공유 탭에 공유(S) 클릭 "Everyone" 추가 이후에도 공유 폴더 접속 시 인증 창이 나오는 경우 사용자 이름에 "Everyone" 입력하고 접속 확인 출처: https://www.samsungsvc.co.kr/solution/42545 스스로 해결 : [삼성 노트북/윈도우 태블릿] 네트워크 파일 및 폴더 공유 방법이 궁금합니다. | 삼 www.samsungsvc.co.kr https://www.samsungsvc.co.kr/solution/35923 스스로 해결 : [삼성 노트북/윈도우 태블릿] 공유 컴퓨터 진입 시 암호를 입력하라고 나타납니다. www.samsungsvc.co.kr 2023. 10. 20. 정보보안기사 - 프로세스(proc) 실행 명령어, 전달 인자 확인 및 실행 파일 복원 다음과 같이 922라는 프로세스 아이디(pid)를 가진 program.out이 동작하고 있다. janger@desktop:~/ground$ ps -aux | grep program.out | grep -v grep janger 922 0.0 0.0 2804 904 pts/0 T 18:52 0:00 ./program.out 프로세스 정보 확인 프로세스의 실행파일명 및 경로 확인 ls -l /proc//exe 프로세스의 명령어 인자 확인 cat /proc//cmdline 922의 exe 상태 파일을 ls 명령어로 확인을 하면 프로그램명 및 경로가 심볼릭 링크로 확인하는 게 가능하다. janger@desktop:~/ground$ ls -l /proc/922/exe lrwxrwxrwx 1 janger jange.. 2023. 10. 16. 리액트 - 우클릭 메뉴 구현하기(context menu) https://blog.logrocket.com/creating-react-context-menu/ Creating a React context menu - LogRocket Blog Explore how to create a React context menu, the shortcuts to activate right-click menus, and how to create a custom context menu Hook. blog.logrocket.com // context menu const [clicked, setClicked] = useState(false); const [points, setPoints] = useState({ x: 0, y: 0 }); const [selectedTr, setSe.. 2023. 10. 13. 네트워크 보안 - 이메일 SPF(Sender Policy Framework) 검증 실패 사례 Received-SPF: softfail (kakao.com: transitioning domain of info@cap248.com does not designate 176.117.72.219 as permitted sender) 발신자 IP 주소(176.117.72.219)가 info@cap248.com 도메인에서 이메일을 보내는 데 허용되지 않음을 의미하고 이를 softfail 즉 수신 서버의 정책에 맞는 방식(그대로 보내던지 실패 처리를 하던지 등)으로 처리를 하라고 한다. 전체 원문 Received-SPF: softfail (kakao.com: transitioning domain of info@cap248.com does not designate 176.117.72.219 as permitte.. 2023. 10. 13. 네트워크 보안 - FTP 패시브 모드(PASV EPSV) FTP 수동 모드(Passive mode)란? FTP 패시브(PASSIVE) 모드란 기존 액티브 모드에 클라이언트의 방화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클라이언트가 서버의 랜덤 한 포트(1024~65535)에 접속하는 방식"을 말한다. 1. 클라이언트는 서버의 제어 채널인 21번 포트로 접속을 하고 "PASV" 혹은 "EPSV"를 보낸다. 이는 앞으로 수동 모드(Passive Mode)를 진행함을 알리는 의미 2. 서버가 자신이 열어둔 데이터 채널인 랜덤한 포트(1024~65535) 번호를 클라이언트에게 알려주고 데이터를 서로 주고받게 된다. PASV와 EPSV 차이 PASV는 IPv4 프로토콜만 지원하며 클라이언트에게 데이터 채널 포트를 알리게 될 때 자신의 아이피를 알리게 되는 등 보안성이 떨어진다.. 2023. 10. 12. MySQL - 뷰(View) 테이블 생성 원본 테이블(members) mysql> desc members; +-------------------+--------------+------+-----+---------+----------------+ | Field | Type | Null | Key | Default | Extra | +-------------------+--------------+------+-----+---------+----------------+ | id | int(11) | NO | PRI | NULL | auto_increment | | username | varchar(50) | NO | | NULL | | | password | varchar(255) | NO | | NULL | | 가상 테이블(members_v) 생성.. 2023. 10. 11. MySQL - 데이터베이스 정보(host, user, db, table, column) 확인 컬럼 정보 가져오기(desc | mysql.user, mysql.db, information_schema.tables, information_schema.columns) mysql> desc mysql.user; +------------------------+-----------------------------------+------+-----+-----------------------+-------+ | Field | Type | Null | Key | Default | Extra | +------------------------+-----------------------------------+------+-----+-----------------------+-------+ | Host | char(6.. 2023. 10. 11. 시스템 보안 - EXE 파일 PE(Portable Executable) 구조 분석하기 PE(Portable Executable)이란? Windows 운영체제에서 실행되는 이진 파일 형식을 의미한다. 이 파일 형식은 Windows 운영체제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DLL, 드라이버 등에 포함된다. 리눅스에도 PE와 비슷한 파일 형식이 있으며 ELF(Executable and Linkable Format)라고 부른다. PE 파일 종류 1) 실행 계열 : EXE, SCR 2) 라이브러리 계열 : DLL, OCX, CPL, DRV 3) 드라이브 계열 : SYS, VXD 4) 오브젝트 파일 계열 : OBJ 사용 목적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메모리 공간에 적재가 되어야 한다. 이때 PE에는 메모리 공간의 어디 주소에 적재가 될지와 실행에 필요한 라이브러리 같은 정보들이 포함되어 있다. PE .. 2023. 10. 7. 셀레니움 - 새 탭 열기 & 새 창 열기 driver.switch_to.new_window('tab') driver.switch_to.new_window('window') 2023. 10. 5. HTML - 티스토리 다크모드 토글 버튼 HTML 🌙 CSS /* 다크모드 */ .dark body{ background-color: #161618 !important; color: rgb(255, 255, 255) !important; font-weight: 700 !important; } 2023. 9. 30. 이전 1 ··· 5 6 7 8 9 10 11 ··· 60 다음 728x90